예전에 공감하며 몇 줄 써놓은 게 있었지만 옮기며 다시 읽어 보니 영 마음에 들지 않아서 지웠다. 우선 시인이 자신의 죄의식과 일종의 회한을 과장스럽게 겉으로 내세우고는 있으나 실제로 그런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가 불분명하고(자연스러운 감정의 흐름이 느껴지지 않고 읽는이를 속이려 드는 느낌이랄까) 또 무엇보다도 시인으로서의 자각이 부족하다는 느낌이다. 그래서 그냥 아래 반칠환님의 풀이로 대신 한다.
'당신 깃든 사원에 발 벗고 함께 머리 조아리나니 나는 사람을 만나도 짐승을 못 버렸고, 꽃을 만나도 벌거지를 못 면했으며, 바람을 만나도 꿈꿀 줄 모르는 사람이었으니 당신의 기도가 오히려 나를 울립니다. 사칭이라니요, 사람을 만나 사람이 되고 꽃을 만나 꽃이 되려 했다면. 진실로 바람을 만나 바람이 되고 죽음을 만나 죽음이 되려 했다면. 누구나 자신이 오를 저 높은 정신의 설산을 우러러 부끄럽지 않은 이 있으리요만 그래도 위안을 갖는 것은 머리 조아리는 이는 이미 가면을 벗었기 때문 아닌가요. 사원을 나서면, 구원의 약속보다 반성의 힘으로 가뿐해지는 것. 일어나세요. 살다보면 또 다시 사칭할 날도 오겠지요. 많이는 말고 병아리 눈꼽만큼만 사칭하고, 주먹같이 반성하며 살자고요. 세상의 제왕을 참칭(僭稱)하지는 말고 슬프게 조금씩만 사칭하며 살자고요. 그럼 각자 죄 짓고 사원에서 다시 만나요.'
- 반칠환 : 시선집 '내게 가장 가까운 신, 당신'(백년글사랑)중에서
나는 꽃과 어울리려 꽃을 사칭하였고
나는 바람처럼 살려고 바람을 사칭하였고
나는 늘 사철나무 같은 청춘이라며 사철나무를 사칭하였고
차라리 죽음을 사칭하여야 마땅할
그러나 내일이 오면 나는 그 무엇을 또 사칭해야 한다
슬프지만 버릴 수 없는 삶의 이 빤한 방법 앞에 머리 조아리며
- 김왕노 : 시집 '슬픔도 진화한다'(천년의 시작)중에서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詩]페루 - 이제니 (0) | 2008.02.03 |
---|---|
[詩]네 눈의 곡선이 - 폴 엘뤼아르 (0) | 2008.01.12 |
[詩]과거를 가진 사람들 - 최승자 (0) | 2008.01.02 |
[詩]주 다는 남자 - 이동재 (0) | 2007.12.20 |
[詩]더럽게 인사하기 - 오규원 (0) | 2007.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