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에 버트란드 러셀에 대한 언급은 나오지만 실존주의 철학자들에 대한 언급은 전혀 나오지 않는다. 그가 동물 행동학과 진화 생물학을 전공한 영국인 과학자라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그들을 다루기 힘든 것이 당연하리라는 생각도 든다. 그러나 무신론의 전도사를 자처하고 나선 그에게서 '신은 죽었다'라는 유명한 말을 던지며 일생을 기독교와 싸웠던 니체나 '인간은 無 한가운데 던져진 존재(Geworfenheit)'라고 했던 하이데거, 또는 '존재는 필연이 아닌 우연이다'던 사르트르와 같은 무신론적 실존주의 철학자들의 그림자를 찾아내는 건 그다지 어렵지 않다. 다만 리처드 도킨스는 과학자로서 다윈주의를 근거로 한 '신은 없다, 창조 따위는 존재하지 않았다'라는 주장을 가지고 대중을 설득하려고 하는 반면 무신론적 실존주의자들은 당시에 이미 무신론을 기정사실로 받아 들이고 오히려 그로 인해 인간에게 초래되는 불안과 허무를 극복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앞의 글에서 제기했던 '믿음 또는 신앙이 없거나 목적론적 세계관에 대한 부정을 감내할 만큼의 충분한 지적인 용기가 없으면 불안, 절망, 우울, 고통 등이 야기된다고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그들을 인용해 이렇게 대답할 수 있다. 19세기 도스트예프스키가 '악령'에서 무신론으로 인한 불안과 허무를 벗어날 방법은 자살 밖에 없다는 듯 끼릴로프와 스따브로긴을 자살로 내몰았을 때나 니체가 '신은 죽었다. 고로 우리는 초인이 되어야 한다'고 말할 때까지만 해도 신은 모든 존재와 모든 가치의 근원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그러한 불안과 허무는 일반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지금은 19세기 만큼 종교가 인생에서 일정한 의미를 점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또 당시의 사고방식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하기에는 생물학, 의학, 심리학, 인류학, 종교학, 고고학, 사회학 등 여러 분야의 수많은 성과들이 신에 대한 의문을 당연시 여기게 만들었다. 따라서 무신론에 의한 불안이나 허무는 시위를 당긴 만큼 화살이 나가는 것처럼 유신론에 경도되었던 만큼 그 반작용으로 인한 충격과 고통으로 드러날 것이다.
그렇다면 루이스 월퍼트의 주장처럼 믿음 또는 신앙이란 생존 경쟁에 유리하기 위한 진화의 산물로서 뇌 속에서 이루어지는 명령과도 같은 것이기 때문에 '25세기가 되어도 교회와 절은 동네마다 안존할 것'인가? 개화된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무속행위가 존재하듯이 역사보다도 인간의 내면에 더 뿌리를 깊게 내린 종교도 어떤 형태로든 생존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형태와 규모로 안존할 것이라는 말은 넌센스다. 즉 왕실에서 국가 중대사를 놓고 굿을 벌였던 15세기의 무당과 많은 사람들에 의해 사기꾼과 동급으로 취급받는 21세기의 무당이 큰 차이가 있듯이 무신론적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과거의 단점과 해악을 줄이는 쪽으로 변화하지 않는 종교의 영향력은 급속히 감퇴하여 종교는 일순간에 지식하위계층의 미개한 습속으로 전락할지도 모른다. 또한 현재 과학의 발전 속도나 수요를 생각했을 때 월퍼트가 주장하는 종교의 순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발명품이 나오는 것은 시간 문제이다. 다만 이런 예상은 종교를 이용하여 권력을 행사하는 자들의 반발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고 그 반발의 여부와 정도에 따라서 종교 몰락의 일정은 늦춰질 수도 있을 것이다(지역, 문화 등 개별적 특수성도 고려하지 않았다). 또 이는 월퍼트와 같은 다윈주의자들에게는 '인생의 의미가 정해지지 않았듯이 진화의 방향이나 속도 또한 정해지지 않았다.'는 명제와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文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그와 블로깅 (1) | 2008.01.04 |
---|---|
무엇이 블로깅을 이끌어 가는가? (7) | 2008.01.03 |
짝짓기 본능과 옴므/ 팜므 파탈 (0) | 2007.12.31 |
사람들은 진실을 견딜 수 있는가?(II) (0) | 2007.12.30 |
사람들은 진실을 견딜 수 있는가?(I) (0) | 2007.12.28 |
리처드 도킨스와 똑같이 다윈주의의 신봉자이면서도 종교에 대해서 만큼은 사뭇 다른 관점을 취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 바로 '신을 믿는 사람이 생존 경쟁에서 살아 남는다'고 주장하는 발생 생물학자 루이스 월퍼트이다. 최근 우리나라에 번역, 소개된 자신의 저서 '믿음의 엔진(원제 Six Impossible Things Before Breakfast: The Evolutionary Origins of Belief)'에서 그는 인간이 진화를 통해 자신의 뇌속에 믿음 엔진(Belief Engine)을 갖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종교 활동은 심적 스트레스를 줄이고 행복감과 낙관론을 고취시킴으로써 심장에의 부담 같은 신체상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데 일조하며, 따라서 종교적 믿음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크다.'(218쪽)
즉 믿음 또는 신앙은 각 개체에게 생존 경쟁에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해주며 이는 진화의 산물이라는 뜻이다. 그는 '나는 내 아들이 열성 기독교 신자가 됐을 때도 말리지 않았다'면서 자신의 아들은 스스로 선택한 믿음으로 인해 더 안온한 삶을 살 수 있으리라는 암시를 던진다(다시 말해 자신은 그런 믿음을 절대 인정하고 가질 수 없었기에 평생 고통을 받았다거나 또는 어떤 정신적 불이익을 감수하며 살았다는 생각이 깔려있다).
엄밀히 말하자면 그의 주장은 리처드 도킨스에게 쏟아지는 항의편지에서처럼 종교적 믿음이 없으면 불안, 절망, 우울, 고통 등을 야기한다는 말과 동일한 논리값을 갖는 것은 아니지만 '풀리지 않은 질문들에 대해 그것들을 안고 살아갈 만큼 지적인 용기를 가져야 한다'는 그의 말을 되새겨 볼 때 루이스 월퍼트 역시 그런 주장에 대해 완강히 부정하지는 않을 것 같다.
논의를 단순화시켜 몇 가지 핵심적인 질문으로 요약시키면 다음과 같다.
1. 믿음 또는 신앙이 없거나 목적론적 세계관에 대한 부정을 감내할 만큼의 충분한 지적인 용기가 없으면 불안, 절망, 우울, 고통 등이 야기된다고 할 수 있는가?
2. 믿음 또는 신앙은 진화의 산물이기 때문에 여전히, 그리고 앞으로도 각 개체의 생존에 유리할 것이라는 월퍼트의 주장과 전세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현대에 이르러서는 기존의 생물학적 진화의 좁은 관점에서 벗어나 사회적 진화까지 모두 고려해야하며 따라서 수천 년전 수만 년간 축적된 지혜를 통해 창안(루이스 월퍼트는 이 부분을 생물학적 진화라는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되었으나 끊임없이 말을 바꾸며 체계화된 거짓 환상이 끼치는 불필요한 사회적 해악들을 무시해서는 안된다는 도킨스의 주장은 서로 대립되는 것인가?
3. 루이스 월퍼트와 그의 아들의 모습은 일견 황량한 들판을 방황하는 우울한 소크라테스와 소박한 우리에 갇혀 배부르고 행복하게 사는 돼지의 모습으로 비유할 수도 있다. 과연 이런 비유는 올바른 것인가? 또 최소한 선택의 기회(예를 들자면 종교와 무신론 사이의 선택)라도 주어져야 한다는 주장은 도킨스의 주장과 일맥상통하는가?
'文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들은 진실을 견딜 수 있는가?(III) (2) | 2008.01.01 |
---|---|
짝짓기 본능과 옴므/ 팜므 파탈 (0) | 2007.12.31 |
사람들은 진실을 견딜 수 있는가?(I) (0) | 2007.12.28 |
YTN 뉴스 앵커의 고정관념을 깨는 모습? (1) | 2007.12.23 |
'만들어진 신(The God Delusion)'에서 흥미로운 대목들 (6) | 2007.12.23 |
'사람들은 진실을 직시할 수 있는가?'
리처드 도킨스의 저작들을 읽으면서 끊임없이 머릿속을 맴돌던 의문이다. 그의 최신작 '만들어진 신' 323페이지에는 2005년 5월 그에게 배달된 한 영국 의사의 편지가 실려 있다.
'왜 우리 모두는 자살하지 않는 것일까? 사실 당신의 세계관은 학생들은 물론 다른 많은 사람들에게 우리 모두가 무에서 맹목적 우연을 통해 진화했고 다시 무로 돌아간다고 말함으로써 그런 효과를 미치고 있습니다. 설령 종교가 참이 아니라고 해도. 우리가 살면서 마음의 평화를 얻을 수 있다면, 플라톤의 말마따나 고귀한 신화를 믿는 편이 더, 훨씬 더 낫습니다. 하지만 당신의 세계관은 불안, 마약 중독, 폭력, 허무주의, 쾌락주의, 프랑켄슈타인 과학, 지상의 지옥, 제3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집니다.....나는 당신이 대인 관계에서 얼마나 행복한지 궁금합니다. 이혼했나요? 홀아비인가요? 게이인가요? 당신 같은 사람들은 결코 행복하지 못합니다. 아니, 행복도, 그 무엇도 아무 의미가 없다고 증명하기 위해 기를 쓰는 것이 아니라면요.'
리처드 도킨스는 이 편지에 담긴 감정이 많은 사람들에게 전형적인 것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 다윈주의를 통해, 또는 과학을 통해 자신이 설파하는 내용은 결코 허무주의적 염세주의나 부정성이 아니며 또 위의 편지에서처럼 그 직접적인 결과로 모든 악이 뒤따르는 것도 당연히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는 자신의 또 다른 저서 '풀리는 무지개(Unweaving the Rainbow)'의 서문에서도 비슷한 내용의 항의를 소개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나의 첫 책(이기적 유전자, The Selfish Gene)을 출간했던 외국의 한 발행인은 그 책에 담긴 차갑고 황량한 메시지에 사로잡힌 탓에 책을 다 읽고 나서도 3일간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했다고 고백했다. 어떤 이들은 (인간이란 단지 일련의 분자들이 복제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존재한다는 잔인하고도 냉혹한 한 줄의 문장으로 인생의 의미를 요약할 수 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참고 견디며 매일 아침마다 일어날 수 있는지 묻곤 한다. 영국에서 멀리 떨어진 어느 나라의 어떤 선생님은 나무라는 듯한 어조의 편지를 내게 보내와 자신의 학생 하나가 '이기적 유전자'를 읽은 후 눈물을 흘리며 그 책 때문에 자기 인생이 공허하고 무의미하게 느껴졌다고 말하기에 똑같은 허무주의적 염세주의가 다른 학생들에게 전염되지 않도록 친구들에게는 절대 보여주지 말도록 충고를 해야만 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그는 감상주의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인생의 의미에 대한 달콤한 거짓이나 환상을 깨뜨리는 일이 인생 자체를 부정하는 것과 혼동되어서는 안된다면서 우주의 궁극적인 운명에 있어서는 아마도 어떤 특정한 목적이나 의미가 없을테지만 그게 바로 인생 또한 무의미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즉, 인간은 누구나 개인적인 소망과 욕구를 갖기 마련이고 건전한 정신의 소유자라면 우주의 탄생 목적과 의미를 알 수 없다고 해서 인생을 부정적인 허무주의로 허비할 필요는 없다는 뜻이다. 또 과학이 인생의 온기와 시적인 감수성을 앗아가 버렸다는 비난에 대해서 도킨스는 과학을 통해 우주에 대한 감탄과 경이로움을 느끼는 것으로도 충분히 그런 불씨를 지필 수 있다면서 故 칼 세이건(Carl Sagan)을 좋은 사례로 들고 있다.
'文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짝짓기 본능과 옴므/ 팜므 파탈 (0) | 2007.12.31 |
---|---|
사람들은 진실을 견딜 수 있는가?(II) (0) | 2007.12.30 |
YTN 뉴스 앵커의 고정관념을 깨는 모습? (1) | 2007.12.23 |
'만들어진 신(The God Delusion)'에서 흥미로운 대목들 (6) | 2007.12.23 |
초보 블로거의 메타 블로그 사이트 비교 (2) | 2007.12.21 |